2022년 새로운 소식

미국중간선거 어찌될것인가?

Kyle94 2022. 10. 23. 23:31
728x90
SMALL

안녕하세요 Kyle입니다. 오늘은 미국 중간선거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네이버

여기서 미국중간선거는 현직 대통령의 과거 2년간의 정치에 대한 여론의 반을으 보여 주는 것으로서 신임투표적 의미를 가지면서, 차기 대통령선거를 에츤하는 중요한 자료로 보일수 있습니다.보통 중간선거는 여당의 의석수가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역사적으로 미국의 중간선거를 보시게 된다면 민주당-공화당 양당의 구분 없이 대통령 소속의 정당이 승리한 사례는 매우 드물었습니다. 실제로 1900년대 들어서 1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중간 선거에서 집권 여당 이 승리한 경우는 

->대공황 당시였던 1934년 프랭클린 루스벨트 행정부> 경제호황을 구가했던 1998년빌 클린턴 행정부>9.11테러 직후였던 2002년 조지W부시 행정부 등 단 3차례에 불과했습니다.

미국의 현재 분위기

1.민주당

민주당이 9월부터 TV에 내보낸 정치광고에서는 '낙태', '헬스케어', '메디케어' 등의 키워드가 상위권에 올랐습니다.

지난 6월말 연방 대법원의 낙태권 폐기 판결 이후 낙태 문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2.공화당

공화당의 경우 광고에서'세금'.'조 바이든', '인플레이션', 등이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바이든플레이션'이라는 바이든과 물가 상승을 합친 신조어도 만들어 내며 맹공 중에 있습니다.

최근 바이든의 지지율은 40%로 소폭 하락했습니다.

낙태권 금지 판결과 인플레이션 감축법 승인 등으로 상승세를 타다가 주춤하는 모습에 있습니다.

미국인들은 미국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에 대해 29%가 물가 상승,15%가 일자리 경제를 꼽은 반면 오직 7%만이 낙태 문제를 꼽았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최근 1년간 생활과 직결되는 기름,에너지,음식 가격이 정말 말도 돤 되게 올랐습니다.

11월 말 추수감사절에 올라갈 음식 가격 변화만 살펴보면 체감이 됩니다.

이외에도 바이든이 내세웠던 학자금 대출 탕감 정책은 법원이 정책 집행을 막아달라는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이면서 제동이 걸리며 여러모로 민주당에 불리한 상황입니다.

3.상하원 선거 예상 판세

1. 상원

미국 상원은 공화당 50명,민주당 50명이라 부통령이 상임 의장을 겸임해 밎누당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선출할 35명 중 공화당이 21명, 민주당이 14명인데 공화당 입장에서는 민주당 자리를 하나라도 뱄어와야 (즉 51대49를 만들어야)승리합니다.

2.하원

435석 전체를 재서출하는 하원의 경우 공화당의 승리가 유력해보입니다.(81대19)

중간선거 이후의 S&P500수익률은?

놀랍게도 1942년 이후 치러진 20번의 중간선거 모두 선거 종료 후 S&P500 1년 누적 수익률이(+)를 기록했습니다.

2018년에도 트럼프가 중간선거 승리를 위해 미중 무역분쟁 여론을 조성하다가,선거 끝나자마자 시진핑과 전화통화를 하고 브라질에서 정상회담을 했습니다.

역사적으로 중간선가가 증시의 변곡점이 된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선거 이후 아래의 조건이 어떻게 바뀔지 집중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1.러-우 전쟁의 변곡점 여부

2.인플레이션보다는 금융안정을 중시하는 중앙은행의 태도 변화가 나타나는가

3.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승리한다면 바이든의 플래그십 정책들은 일제히 빛이 바랠가능성이 높다.

:공화당은 기본적으로 화석연료에 우호적이고,전기차/신재생 에너지에 대행 회의적입니다.

4.그럼에도 불구하고Value 우위,CAPEX모멘텀은 지속될 것입니다.

 

대표 광고주 구글의 최근 주가 흐름

민주당과 공화딩이 기록적인 액수의 광고비를 지출하고 있습니다.

월스트리저널에 따르면 양당이 중간선거에서 지출한 광고비가 모두 75억 달러(약10조8천억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이는 2018년 중간선거(40억달러)때의 거의 2배,2020년 대선(90억달러)때에 육박하는 수치입니다.

광고 시장 점유율은 구글,메타,아마존 순으로 높은데 그중 점유율 1위인 구글의 주가 흐름을 잘 살펴볼 필요가 있을거 같습니다.

10월25일에 구글의 3분기 실적이 발표되는데, 개인적으로는 실적 서프라이즈로 구글 주가도 반등하고,증시도 연말 랠리로 이어지면 좋을거 같습니다.

*이 글은 매수,매도 추천글이 아니며,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포스틍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아요와 좋은 댓글 언제든지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