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쉽다 우상혁, 경기 매너에 빛난 값진 은메달
안녕하세요 KYLE 입니다~~ 우상혁(27 용인시청)이 무타즈 에사 바르심(32 카타르)와의 치열한 라이벌전 끝에 패해 항저우 아시안게임을 2위로 마쳤습니다.
우상혁 선수는 4일 중국 저장성 항저우 올림픽 스프츠센터 주 경기장에서 열린 2022항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높이뛰기 결선에서 2m33을 넘어 2위를 차지했습니다.
바르심은 2m35를 넘어 우상혁을 제치고 자신의 세번째 아시안게임금메달을 손에 넣었습니다.
고교생이던 2014년 인천 대회에서 2m20으로 10위에 그친 우상혁선수는 2018년 자카르타 팔렘방에서 2m28로 은메달을 따냈습니다.
2021년 열린 2020 도쿄 올림픽(2m35로 4위)을 기점으로 세계최정상급 점퍼로 도약한 우상혁은 2022년 베오그라드 세계실내선수권대회에서 우승(2m34),유진 실외 세계선수권2위(2m35,)올해 다이아몬드리그파이널 우승(2m35)등 한국 육상의 새 역사를 쓰고 있습니다.
5년 사이 사이사 정상권에서 세계 최정상급 점퍼로 올라선 우상혁은 항저우에서 개인 첫 아시안 게임 금메달 획득을 노렸지만, 현역 최고 바르심의 벽을 아쉽게 넘지는 못했습니다.
장내 아나운서의 2023 다이아몬드리그 파이런 챔피언이라는 소개와 함계 두 팔을 들고 펄쩍뒤며 스타디움에 등장한 우상혁은 실제 경기에서도 경쾌한 몸놀림으로 바를 넘었습니다.
이날 경기는 2m00부터 시작힜지만 우상혁은 2m00과2m10을 패스하고 2m15에서 첫 점프를 했습니다.
2m15을 1차시기에 가볍게 넘은 우상혁은 2m19, 2m23, 2m26, 2m29를 실패없이 넘었습니다.
바가 2m31로 높아졌을떄, 남은 선수는 우상혁과 바르심, 신노 도모히로(일본) 단 3명 뿐이었습니다.
우상혁과 바르심은 2m31도 1차시기에 넘었고, 신노가 1~3차 시기에 모두 실패하면서 우승을 향한 2파전이 시작되었습니다.
2m33도 우상혁과 바르심은 1차 시기에 성공했습니다.
두명의 선수가 2m33까지 한번의 실패없이 경기하는 건 세계선수권에서 자주 볼수없는 명장면 이었습니다.
균열이 꺠지기 시작한건 2m35였습니다.
먼저 시도한 우상혁은 1차시기에서 실패했지만, 바르심은 1차 시기에서 2m35를 넘었습니다.
2m35를 넘는 게 의미가 없어진 우상혁은 바를 자신의 실내 한국 기록(2m36)보다 높은 2m37로 높여 두 차례 시도했지만, 아쉽게 바를 건드렸습니다.
바르심은 2017런던,2019도하,2022유진 세계선수권3연패를 달성하였고,2020도쿄올림피에서는 장마르코 탬베리(이탈리아)와 공동 1위에 오른 현역 최고 점퍼 입니다.
아시안게임에서는 2010년 광저우와 2014년 인천에서 2연패를 달성했고, 2018년 자카르타 팔렘방 대회에는 발목 부상 여파로 결장했습니다.
바르심은 지난달 열린 다이아몬드리그 파이널 출전을 포기하며 아시안게임 준비에 전념을 했고 원하던 금메달을 획득했습니다.
우상혁은 바르심과 세계선수권급 경쟁을 펼쳤지만, 마지막 고비를 넘지 못했습니다.
우상혁과 함께 결선에 출전한 최진우(18 울산스포츠과학고)는 2m15로 10위를 차지했습니다.